프리랜서로 일하다 보면 종합소득세, 경비처리, 세액공제 같은 용어들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세무 지식이 없는 일반인에게는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죠.
이번 글에서는 프리랜서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세무기초 용어 10가지를 알기 쉽게 정리하고,
실제 신고나 절세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
프리랜서의 가장 핵심 세금입니다.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해 계산하는 세금으로, 보통 매년 5월에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을 통해 신고합니다.
💡 제대로 신고하면 세금 환급도 가능
프리랜서의 수입에서 세금을 계산할 때 차감할 수 있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업무 관련 지출이면 대부분 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경비가 많을수록 과세표준은 줄고, 세금은 낮아집니다.
프리랜서가 3.3% 세금 공제된 금액을 지급받는 구조입니다.
📌 낸 세금보다 실제 세액이 적으면 ‘환급’ 받습니다
프리랜서가 경비를 ‘어떻게 계산할지’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구분 | 단순경비율 | 기준경비율 |
---|---|---|
장점 | 자료 제출 거의 없음 | 경비 인정 범위 넓음 |
단점 | 실지출과 차이 클 수 있음 | 증빙자료 필요 |
선택기준 | 연 2,400만 원 이하 | 초과 시 적용 |
✅ 수입이 적고 지출이 간단한 프리랜서는 단순경비율이 유리함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와 각종 공제 항목을 뺀 금액입니다.
과세표준 = 총수입 – 필요경비 – 공제금액
📌 과세표준이 낮을수록 세금도 낮아집니다
세금 계산 후, 산출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되는 항목입니다.
💸 공제 누락 시 세금 수십만 원 차이 날 수 있음!
국세청에서는 프리랜서의 소득 수준에 따라 신고 유형을 자동 분류합니다.
유형 | 기준 | 특징 |
---|---|---|
간편장부 | 연 7,500만 원 이하 | 간단하게 지출기록만 유지 |
복식부기 | 연 7,500만 원 초과 | 자산·부채 기록 포함, 어려움 |
📌 간편장부 대상자는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신고 가능
프리랜서는 대부분 비기장의무자입니다.
하지만 연 매출 규모에 따라 달라지므로 홈택스에서 자동 확인 가능합니다.
납부세액: 신고한 금액보다 원천징수된 세금이 적을 경우, 추가 납부
환급세액: 원천징수된 세금이 더 많을 경우, 차액을 돌려받음
✅ 홈택스 신고 시 마지막 단계에서 자동 계산되어 나옵니다
신고를 늦게 하거나, 누락, 허위로 작성할 경우 부과되는 추가 세금입니다.
⚠️ 최대 20% 이상까지 가산되므로 신고 기한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프리랜서의 세금은 ‘복잡하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기초 용어만 정확히 이해하면 홈택스 신고도, 환급도 어렵지 않습니다.
✅ ‘수입 – 경비 – 공제 = 세금’ 구조를 이해
✅ 비용 처리와 공제 항목은 꼼꼼히 준비
✅ 신고유형, 세액 계산은 홈택스가 자동 처리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매년 5월은 프리랜서들에게 세금 스트레스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해주는 직장인과 달리, 프리랜서는 직접 종합소득세…
매년 5월은 ‘세금의 달’로 불릴 정도로 종합소득세 신고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2025년에도 예외는 없습니다. 프리랜서, 사업자,…
2025년, 한국 프로야구(KBO)의 열기가 다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LG트윈스, KIA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등 인기 구단의…
갑작스러운 생활비, 자녀 교육비, 병원비 등으로 인해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소득이 없는 주부라면 대출이…